본문 바로가기
TV

DP 다시보기 200% 재미있게 보는 오류찾기와 원작과 차이점

by 건이 슈 2021. 9. 6.
반응형

 

 

DP 다시보기 200% 재미있게 보는 오류찾기와 원작과 차이점

 


재미있는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다시 한번 더 보게된다. 처음에는 드라마 전체를 보지만 다시볼때는 캐릭터별 감정을 이입도 해보는 것 또한 재미있는 방법이다. 이번 에는 DP를 다시보는 사람들에게 추천드리는 시대 설정 오류와 원작과 차이점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원작과 차이점


1. 

원작에서 일말에 박범구 중사와 면담을 통해 D.P하기로 결정되었고, 주 활동 시기가 상병이었던 안준호가 드라마에서는 막 입대해 D.P.에 배치된 신병으로 설정이 변경됐다. 또한 원작에서 안준호의 부사수였던 박성준의 성격이나 설정의 일부가 드라마판 안준호에게 살짝 넘어간 모습도 보인다.

2.
안준호가 신우석을 제때 잡지 못해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는 과정이 스토리 초반부에 직접 등장한다. 원작에서는 스토리 중반부에서 나오는 설정. 신우석의 자살과정이 원작과 다소 차이가 있다. 안준호가 조원 박성준과 함께 자진해서 
PC방에서 짱박혔고 박성준이 안준호에게 걱정된다고 간언했지만 이를 무시한 것이 자살의 원인이 되었지만, 드라마에선 전임 D.P 박성우가 술마시자고 하자 안준호가 되려 걱정했고 박성우가 신우석의 자살여부는 제껴두고 거짓말하기에 급급하자 안준호는 박성우에게 하극상을 저지르게 된다. 하지만 신우석으로 인해 죄책감을 지닌다는 속성은 같다.

 


3.
원작에서의 주인공 안준호는 D.P 조장이며 상병으로 어느정도의 기술이 쌓인 인물로써 조원인 박성준 일병이 안준호를 
보조하는 모습이 나오나 드라마에서는 D.P.로서 쌓인 기술을 보여주는 인물이 오리지널 캐릭터 D.P 조장 한호열로 바뀐다.

 

 

4.
박범구 중사의 캐릭터성이 변했다. 원작에서는 실적에 집착하고 윗선에 아양 떨지만 똥군기같은 
비효율적인 부조리는 싫어하는, 현실에 있을법한 실리주의적인 간부였지만 여기선 좀더 정의로운 
인물로 그려진다. 드라마에서는 헌병대에서 대체할 수 없을 만한 실력자이지만 진급 심사에서 떨어지는데, 
상급자에게는 할 말 다 하면서 원칙을 깨고 부하를 챙기기도 해서인 듯하다. 

 

5.
탈영병의 수가 원작보다 줄고 일부 캐릭터 설정은 다른 캐릭터에 편입되거나 변경됐다.

 

6.
웹툰과는 다르게 D.P들이 박범구의 전화를 받을 때 관등성명을 댄다. 웹툰에서는 관등성명을 댈때마다 
박범구는 밖에 나와서는 경례랑 관등성명은 넘기라고 하며, 여타 D.P들도 가장 강조하는 것 중 하나가 
사복 입고 나왔으니까 군인처럼 행동하지 말 것을 강조하지만, 드라마에선 관등성명으론 별 말이 없고, 
안준호가 활동 초창기인지 군인머리로 D.P 활동을 하고 있다.

 

 

 

 

시대상 오류

 



1- 2014년이 배경인데 2화에서 인천역 플랫폼에 정차되어 있는 전동차에 서울메트로 로고가 박혀있어야 하지만 2017년에 서울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사명이 변경된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박혀있다. 또한 2019년도 들어서 영업운전에 들어간 한국철도공사 312000호대 신형 열차가 지나다닌다.

2- 1화 노래방 장면에서 2016년 이후에 나온 TJ미디어 70 시리즈 반주기 화면이 나온다.

3- 3화에서 2019년에 CI가 변경된 GS25 간판이 보인다.

 


4- 5화 17분 33초를 보면 차가 막혀 대기하는 장면이 있는데 배경이 2014년도이지만 2018년도에 출시한 현대 아반떼 차량이 등장한다.

5- 부대에서 쓰는 PC 운영체제가 Windows 10이다. Windows 10은 2015년 출시되었고 군에서는 2019년 말부터 쓰고 있다.  작중 배경인 2014년은 Windows XP가 업데이트 종료되는 시점으로 군에서는 2014년 3~4월경부터 Windows 7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6- 주요 등장인물을 포함 작중 아이폰을 쓰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호스트바를 탐문수사하는 장면에서 노치가 있는
 아이폰을 쓰는 호스트바 직원이 있다. 최초의 노치 아이폰은 2017년 9월에 발표되었다.

7- 부산 파견업무 당시 해운대 청사포가 나오고 배경으로 엘시티가 흐릿하게 보이는데 당연하게도 2014년에 
엘시티는 완공되지도 않았다. 맞은편에 나오는 용호동 W 역시 2018년에 완공된 빌딩이다.

 

 


8- 위와 마찬가지로 부산 파견업무 당시 시티투어버스를 타고 광안대교를 지나가는 방향이 해운대 서쪽을 향해 
가는데 바로 다음 장면에서 김규와 첫 대면 하는 곳은 해운대 동쪽에 있는 기장 힐튼 호텔이다. 참고로 기장 
힐튼 호텔은 2017년에 개장했으며 작중 시점인 2014년은 막 기공식을 하고 공사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9- 3화에서 안준호가 김규가 꿔준 300만 원을 BNK 부산은행 돈봉투를 통해 문영옥에게 전달하고 문영옥은 
이를 챙기는데 3화~6화까지의 배경은 2014년 말로 보인다. BS부산은행이 경남은행을 합병하면서
 BNK금융지주로 사명을 바꾼 건 2015년 3월이므로 시기상 적절하지 않다. 5화에 나온 극장씬은 
2014년 12월에 개봉한 영화 국제시장(영화)이 비춰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10- 5화에서 터미널에서 김규와 대기를 하던 태성곤이 메가커피를 들고 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메가커피는 2015년에 설립되었다.

11- 에피소드 중 나오는 맛스타는 2010년에 이미 생생가득으로 브랜드명이 바뀌었다. 하지만 여전히 맛스타의 상호로 나오는 제품은 존재한다.

 

 

 

DP는 넷플릭스 오리지널에서 볼수 있으며 정말로 재미 있다. 연인이 함께봐도 다양한 개그요소와 추리가 있기 때문에 더욱더 같이 볼만한 작품이다.  드라마를 다시보면서 이러한 설정오류와 시대 오류등을 찾는 것 또한 소소한 재미 일 수 있다. 

 

 

 

 

#DP #DP다시보기 #DP설정오류 #DP원작과차이 #DP정해인

 

 

 

 

 

 

 

- 이 글은 어떠한 상업적 / 사업적 대가 없이 작성한 글 입니다. 

 

 

▼ 블로그 인기글 보기

 

 

 

반응형

댓글